logo
임이자 국회의원, “고공농성, 이전 정부에 비해 2배”
정치

임이자 국회의원, “고공농성, 이전 정부에 비해 2배”

이민숙 대표 기자
입력

임이자 국회의원, “고공농성,이전 정부에 비해2

 

d2d9ead8ff222aa83b564d893db57264
문재인 정부는 출범하며노동 존중을 표방했지만,노조의 고공 농성은 박근혜 정부 시절보다2배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임이자 국회의원(상주-문경)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 정부 출범 이후 지난8월까지 노조의 고공 농성 건수는72건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임기가 시작된20132월부터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기 직전인2017510일까지의 고공 농성 건수는36건에 불과했다.

 

이전 정부에 비해 무려100%증가한 것으로,현 정부 임기가 아직 남았기 때문에 차이는 더 벌어질 수 있다.

 

고공 농성은 보통 노조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때 사측을 압박하는 최후의 수단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문재인 정부가 노사갈등을 중간에서 중재하는 조정 능력을 잃은 것이 아니냐는 것이 노동계의 지적이다.

특히,현 정부 들어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타워크레인 노조의 고공농성이 급증했다.

 

박근혜 정부 때는6건에 불과했으나 현 정부 들어서는43건으로 기하급수적으로 급증했다.

 

요구사항도 대부분우리 조합원을 채용하라는 것이다.

 

민노총과 한노총이 한정된 타워 크레인 일자리를 놓고 싸우면서 갈등이 조정되지 않자 고공농성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박근혜 정부 시절에는 민노총이 전체 고공농성의97%(35)을 차지했고,한노총은3%(1)에 그쳤다.

 

하지만 현 정부 들어서는 민노총이 전체의56%(40),한노총이38%(27)을 차지하는 것으로 양상이 바뀌는 점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이와 함께 노사 분규 전체 건수도 현 정부에서 소폭 증가했다.

 

201372, 2014~2017101~120건 수준을 유지한 반면, 2018년에는131, 2019년에는141건으로 증가했으며,지난해에는105건으로 소폭 감소하는 모습이었다.

 

임이자 국회의원은친노동 정책을 표방하는 현 정부가 출범한 뒤 오히려 노사 분규가 확대되고 투쟁 강도가 거세지고 있다.”노조도 자신들의 기득권만을 지키기 위한 것만이 아닌,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노동 운동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경매일신문

이민숙 대표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